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있는 인공지능(AI)은 이제 단순한 관심을 넘어서 대학의 핵심 전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2028년 입시에서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적용되며, AI 관련 학과 진학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들에게는 과목 선택, 비교과 활동, 학업역량 모두를 고려한 체계적인 준비가 요구됩니다. 이 글에서는 AI 전공을 희망하는 고등학생을 위한 과목 선택 전략, 비교과 활동 구성, 자기소개서 및 면접 준비 팁까지 통합적으로 안내해드립니다.
과목선택: 고교학점제 시대의 핵심 전략
AI 관련 학과는 ‘수학 + 정보 + 융합사고’ 기반 전공이기 때문에 과목 선택이 입시 성패를 좌우합니다.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이 진로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야 하므로, AI 분야 진학을 고려하는 학생은 다음과 같은 과목 이수가 필수입니다.
추천 필수 과목
- 수학: 미적분, 기하 중 최소 1개 이상
- 과학: 융합과학, 물리학Ⅰ, 지구과학Ⅰ 등 논리적 사고 중심 과목
- 진로선택 과목: 프로그래밍, 인공지능 기초, 정보과학, 기술과 디자인
이 중 ‘정보’ 과목은 일부 대학에서 입시 과목 반영 여부를 검토하고 있어, 이수 여부가 전공 적합성 판단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KAIST, UNIST, 고려대, 연세대 등은 ‘전공 관심도’를 평가할 때 과목 이수내역을 비중 있게 반영합니다.
비교과 활동: AI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경험 만들기
AI학과 지원자는 이론지식뿐만 아니라, 실제 코딩·문제해결·창의융합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활동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학생부 종합전형을 준비하는 학생은 비교과 활동 구성에도 전략이 필요합니다.
추천 활동 예시
- 프로그래밍 동아리 활동: Python, C++, Java 기반 프로젝트 진행
- AI 관련 독서: 『인공지능 2045』, 『알고리즘 행성 여행자』 등 관련 도서 독후감
- 자체 앱 제작 프로젝트: 생활 속 문제 해결 앱 또는 AI 챗봇 개발
- 공모전 참여: 한국정보올림피아드(KOI), SW·AI 관련 지역 대회 참가
- 캡스톤형 활동: 기계학습 활용 간단한 분석 예제 구현 후 보고서 작성
비교과 활동은 ‘참여했다’는 사실보다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성장했는가에 중점을 두고 정리해야 합니다. 활동 후 느낀 점과 학문적 확장 연결고리를 정리하면 자소서 및 면접에서도 유리합니다.
입시 준비 실전 팁: 자소서, 면접, 전형별 대응
AI학과는 대부분 학생부종합전형, 특기자전형, 정시 수능 전형을 통해 모집하며, 대학에 따라 선발 방식이 다릅니다. 따라서 지원 대학의 전형 유형에 따라 서류와 면접을 준비하는 전략이 달라져야 합니다.
자기소개서 준비 포인트
- 전공에 대한 흥미 → 구체적 탐색 활동 → 향후 학습계획 순으로 구성
- AI의 사회적 활용,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민 포함 시 고평가 가능
- 활동 + 교과 연결 강조 (예: 수학시간에 배운 확률을 활용한 AI 프로젝트 등)
면접 준비 팁
- 전공적성 면접이 있는 대학은 코딩 로직, 알고리즘 사고, 수리논리 문제 중심
- 평소 활동한 프로젝트 내용을 친구나 가족 앞에서 발표 연습 필수
- 시사 이슈: ChatGPT, 자율주행, AI윤리 등 주제로 토론 준비 추천
정시 수능 준비 시 고려사항
- 수학은 ‘미적분’, 과탐은 ‘물리+지구과학’ 조합 선호 경향
- 정보 과목 수능화는 아직 시행 전이지만, 향후 반영 가능성 고려 필요
- 기출 분석을 통한 고난도 문항 풀이 연습 필수
이글을 마치며...
AI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미래 산업의 기반입니다. 2028년 입시에서는 전공 적합성과 학습 역량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포트폴리오형 입시 준비’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과목 선택부터 활동, 서류까지 일관성 있는 전략을 세우고 준비한다면, AI학과 진학은 더 이상 막연한 꿈이 아닙니다. 지금부터 자신만의 AI 학습 스토리를 만들어보세요!